DPR(Digital Press Release)
인간오세정(~2015상반기)
지난번에는 도안구기자님이 기자간담회와 블로거간담회에 대해서 쓰셨는데,
어제는 이희욱기자님이 '보도자료2.0은 먼곳에?' 라는 기사를 쓰셨다.

두개다 나도 비공개로 저장해놓고 쓰려고 준비중에 있는 것이었는데,
이거 머라고 해야할까? 낙종했다고 해야하나...ㅋㅋ

기자간담회와 블로거간담회의 차이는 그냥 그대로 놔둬버렸고,
이희욱기자님의 기사에 대해 트랙백을 날려본다.

이미 외국에서는 '소셜미디어PR'등으로 불리며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긴 한데,
나는 DPR(Digital Press Release)라는 말을 사용하려고 한다.
(사실 이건 Waggener Edstrom APEC의 Digital PR 담당자인 '멜빈 유안'이 사용하는 모델을 국내 상황에 맞게 만들어 본것이다.)

이게 어쩌면 우리회사만이 가지고 있어야 할 서비스라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이미 국내의 소셜미디어 연구가들은 다들 알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냥 써보려고 한다.

자, 본격적으로 들어가서...

사실 난 지금 이 포스팅을 쓸때가 아니다.
오늘 오전까지 DPR에 관련한 제안서를 완성해야 하는 것이다.

그럼 DPR은 무엇인가?
이희욱기자님의 보도자료2.0과 비슷하다.

전통적인 보도자료나 기사릴리즈 방식을 TPR(Traditional Press Release)라고 한다면
Link를 기반으로 한 보도자료나 기사릴리즈 방식을 DPR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실제로 위에 말했듯이 지금 제안중인 내용은 다음과 같은 스텝이다.


Step0. 기업블로그 개설

이 기업은 글로벌 기업으로 굉장히 큰 기업이다.
그리고 현재 기업블로그가 운영중이기는 하다.
현재 운영중인 기업블로그를 소비자단으로 확장을 하던지,
아니면 새로운 블로그를 하나 런칭을 한다.

기본적인 기업블로그의 운영목표인 소비자들과의 '대화'는 물론이거니와
DPR의 기본적인 거점이 되는 것이다.

무슨 거점이냐고? 그건 다음 스텝부터...


Step1. DPR에 대해

DPR은 e-DM 방식이다.
그러나 광고성의 e-DM이 아니라 Bullet point를 활용해 요점만 간단히 적는다.
그리고 추가적인 설명,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전부 링크를 걸어놓는다.
어디로 링크를 거냐고? 그건 당연히 기업의 블로그 포스팅이다.
그 포스팅은 해당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인 것이다.

기업 블로그의 하나의 컨텐츠가 되기도 하고,
DPR의 링크를 통해 더 많은 취재가 필요하거나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한 기자/블로거들에게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Step2. Webinar 또는 동영상UCC

텍스트와 이미지의 정보가 부족하다고 생각되면,
DPR을 보낼때 언제 어디서 어떤 플랫폼에서 Webinar를 생방송으로 진행한다.
그게 힘들면 개발자가 직접 동영상 UCC를 통해 쉬운 설명을 덧붙힌다.
물론 이 UCC는 기업 블로그에 올릴 수 있다.



Step3. 성과측정은? = 누가 얼마나 받아 보는가?

DPR의 효과측정이라기 보다 이것이 잘되고 있는지는
바로 이 DPR을 받아보는 사람들의 수가 얼마나 되는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RSS로 구독하면 되지 않겠냐라고 말할 수도 있지만
머 아직 우리나라가 그렇게 RSS를 많이 활용하고는 있지 않고,
그리고 직접 보낸다는데에 릴리즈의 의미가 있는것 같다.

받는 대상은, 기자/블로거/저널리스트 등이 될 것이다.

물론 내가 기자가 아니라서 기자분들의 성향이 이런걸 좋아하는 분도 계실테고
아닌 분도 계실테지만, 한가지 Absoultely 확실한건 온라인쪽이나 블로거들은 굉장히 환영할 만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Step4. DPR 진행에 대한 마인드

기업은 보도자료를 통해 '메시지'를 전한다.
어떤 꼭지와 어떤 메시지로 보도자료를 만들었을때 훌륭하다고 할지 모른다.

그러나 DPR은 좀 다르다.
이미 '컨트롤'의 시대는 갔다.

중요한 포인트만 찍어주는 대신 더 많은 정보를 Link 란 녀석을 통해
보여주는 것이다.

일종의 뭐랄까 기사소스를 늘려주는 것이다.

잘 정제되어 만들어진 찜이나 구이가 아니라
매우 많은 날것의 '회'를 업로드 해놓고
그것을 보고 기자 또는 블로거들이 마음에 들면 취재를 하는 것이다.

보도자료 띡 받고 약간 수정해서 쓰는 기사랑은 차원이 틀리다.

기업입장에서는 이런 나름 열린 마인드가 필요하다 본다.



Step5. 미투데이 활용

미쿡은 트위터 열풍이다.
그럼 우리도 미투데이를 쓰자.

누군가는 말할지 모른다.
미투데이 쓰는 사람이 얼마나 되는데? 라고 말이지
물론 아무 기업이나 다 맞지는 않는다.

그러나 IT기업, 더군다나 이름만 대도 유명한 글로벌 기업이라면
미투데이 유저들이 관심이 많을 거라 확신한다.

기업의 공식 미투데이 채널을 열어서 역시 새로운 기사나 뉴스를
link를 통해 공지한다.

소셜라이징이 되고 있는 미투데이 유저들에게는 발빠른 기사가 될 수 있다.
미투데이 말고 다른 소셜미디어가 가능성이 있다면 활용해도 좋다.
소비자와의 대화가 목표니까 말이다.

이걸 끄적끄적여 본걸 스캔해서 올려본다.
오래전에 해서 약간 다를 수도 있지만...




결론적으로,
사실 이런 모델은 미쿡에서는 활발히 사용하고 있는 모형이다.
여기에 추가로 페이스북이나 마이스페이스에서의 활동이 추가될 것이다.

용어가 'DPR'이던 '보도자료2.0'이던 중요하진 않고,
웹2.0 환경이 가져온 최고의 가치중 하나인 'Link'를 활용해서
이런 변화를 꾀하는 기업들이 많아졌음 하는 바램일 뿐이다.

다른 에이전시들이 이런 모델을 모르고 있다고는 생각지 않는다.
혹시 몰랐다가 이 글을 보고 따라할 수도 있겠지만
정지훈이 말했듯 난 또 대체할 수 없는 자가 되기 위해 이런것에 대한 경험을 쌓거나
또다른 걸 고민해보면 되지머...

암튼 대한민국 소셔르미디어 화이팅이다.